반응형

조경식재
61.
식생과 토양간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
배수불량의 원인은 주로 이층토의 접합부 위에서 나타난다.
②
산중식(山中式) 토양경도계로 측정하여 토양경도지수가 18~23mm까지는 식물의 근계생장에 가장 적당하다.
③
우리나라의 산림토양은 일반적으로 알칼리성에 해당하며,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산도는 pH7.6~8.8의 범위이다.
④
일반적으로 도시지역에 조성되는 식재지반의 경우 투수성이 나쁜 경우가 많다.
정답 : ③ 우리나라의 산림토양은 일반적으로 알칼리성에 해당하며,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 산도는 pH7.6~8.8의 범위이다.
62.
일반적인 방풍림에 있어서 방풍효과가 미치는 범위는 바람 아래쪽일 경우 수고(樹高)의 몇배 거리 정도인가?
①
5~10배
②
15~20배
③
25~30배
④
35~40배
정답 : ③ 25~30배
63.
배롱나무(Lagerstroemia indica L.)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두릅나무과(科)이다.
②
성상은 낙엽활엽교목이다.
③
줄기는 매끈하고 무늬가 발달하였다.
④
꽃은 원추화서로 8월 중순에서 9월 중순에 개화한다.
정답 : ① 두릅나무과(科)이다.
64.
남부 해안지역에 식재할 수 있는 수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곰솔(pinus thunbergii)
②
동백나무(Camellia japonica)
③
산수유(Cornus officinalis)
④
후박나무(Machilus thunbergii)
정답 : ③ 산수유(Cornus officinalis)
65.
온대지방 식생분포의 대국(大局)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은?
①
기후요인과 최저온도
②
지형요인과 풍향
③
토지요인과 강우량
④
생물요인과 최고온도
정답 : ① 기후요인과 최저온도
66.
다음 중 낙엽활엽관목에 해당되는 수종은?
①
황매화(Kerria japonica)
②
송악(Hedera rhombea)
③
모람(Ficus oxyphylla)
④
남오미자(Kadsura japonica)
정답 : ① 황매화(Kerria japonica)
67.
가로수의 목적 및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병·해충에 잘 견디고 쾌적감을 줄 것
②
도로의 미화를 위해 상록수일 것
③
이식과 전지에 강한 수종일 것
④
지역적, 역사적 특성과 향토성을 풍기고 공해에 잘 견딜 것
정답 : ② 도로의 미화를 위해 상록수일 것
68.
아조변이 된 식물, 반입식물을 번식시키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?
①
삽목
②
실생
③
접목
④
취목
정답 : ② 실생
69.
그림과 같은 식재설계 시 경관목(景觀木)의 위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?
①
A
②
B
③
C
④
D
정답 : ② B
70.
다음 중 양수들로만 짝지어진 수목은?
①
낙엽송, 소나무, 자작나무
②
태산목, 구상나무, 꽝꽝나무
③
개비자나무, 회양목, 팔손이
④
독일가문비나무, 아왜나무, 미선나무
정답 : ① 낙엽송, 소나무, 자작나무
71.
식생조사 및 분석에서 두 종의 종간관계를 유추하기 위하여 종간결합을 조사하는 과정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?
A.x² 값을 계산한다. B.2x2 분할표를 작성한다. C.양성, 음성 혹은 기회 결합인지 판단한다. D.알맞은 크기의 방형구를 100개 이상 설치하여 두 종의 존재 여부를 기록한다. |
①
B→A→D→C
②
B→D→A→C
③
D→B→A→C
④
D→A→B→C
정답 : ③ D→B→A→C
72.
다음 중 화재의 방지 또는 확산을 막거나 지연시킬 목적으로 식재하는 방화수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?
①
동백나무(Camellia japonica)
②
굴거리나무(Daphniphyllum macropodum)
③
사철나무(Euonymus japonicus)
④
댕강나무(Abelia mosanensis)
정답 : ④ 댕강나무(Abelia mosanensis)
73.
다음 중 과(family)가 다른 수종은?
①
금송
②
측백나무
③
향나무
④
노간주나무
정답 : ① 금송
74.
다음 특징에 해당하는 수종은?
- 전정을 싫어 함 - 여름에 백색의 꽃이 핌 - 수피가 벗겨져 적갈색 얼룩무늬의 특색이 있음 |
①
노각나무(Stewartia pseudocamellia)
②
모과나무(Chaenomeles sinensis)
③
채진목(Amelanchier asiatica)
④
느릅나무(Ulmus davidiana var. japonica)
정답 : ① 노각나무(Stewartia pseudocamellia)
75.
다음 중 수도(數度), abundance)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?
①
조사한 총 면적/어떤 종의 총 개체수
②
언떤 종이 출현한 방형구/조사한 총 방형구 수
③
어떤 종의 총 개체수/조사한 총 면적
④
어떤 종의 총 개체수/어떤 종이 출현한 방형구 수
정답 : ④ 어떤 종의 총 개체수/어떤 종이 출현한 방형구 수
76.
다음 중 우리나라 특산수종이 아닌 것은?
①
구상나무
②
미선나무
③
개느삼
④
계수나무
정답 : ④ 계수나무
77.
다음 특징에 해당되는 식물은?
- 잎이 장상복엽이다 - 그늘시렁에 올려 사계절 녹음을 볼 수 있음 |
①
덩굴장미(Rosa multifloravar. platyphylla)
②
멀꿀(Stauntonia hexaphylla)
③
등(Wisteria floribunda)
④
으름덩굴(Akebia quinata)
정답 : ② 멀꿀(Stauntonia hexaphylla)
78.
온대성 화목류의 개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
꽃눈(화아, 花芽)은 보통 개화 전연에 형성된다.
②
대체로 단일이 되면 생장이 중지되었다가 장일이 되면서 생육하며 개화한다.
③
꽃눈(화아, 花芽)이 저온에 노출괴면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한다.
④
생육과 개화는 auxin이나 gibberellin 물질의 증가 및 활성화와 밀접하다.
정답 : ③ 꽃눈(화아, 花芽)이 저온에 노출괴면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한다.
79.
3그루 나무를 배식 단위로 식재할 때 가장 자연스러운 처리 방법은?
①
동일한 선상(線上)에 놓여야 한다.
②
3그루 수목은 수종과 형태가 동일해야 한다.
③
식재기점을 연결한 형태가 정삼각형이 되어야 한다.
④
식재지점을 연결했을 때 부등변삼각형이 되어야 한다.
정답 : ④ 식재지점을 연결했을 때 부등변삼각형이 되어야 한다.
80.
목련(Magnolia kobus)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①
중국이 원산임
②
꽃이 밑으로 향함
③
꽃잎은 6~9장임
④
꽃보다 잎이 먼저 나옴
정답 : ③ 꽃잎은 6~9장임
반응형
'자격증 기출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년 4회 조경기사 필기(조경시공구조학) 문제풀이 (0) | 2022.06.10 |
---|---|
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풀이(2022.06.10) (0) | 2022.06.10 |
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기출문제풀이(2022.06.09) (0) | 2022.06.09 |
2021년 4회 조경기사 필기(조경설계) 문제풀이 (0) | 2022.06.08 |
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풀이(2022.06.08) (0) | 2022.06.08 |
댓글